국민주택채권: 국민주택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국민주택기금의 부담으로 발행되는 채권.
국민주택채권은 은행 인터넷뱅킹에서 매입과 동시에 매도할 수 큰 금액은 아니지만
주택 구매를 할때 정말 납부할게 많다고 또 느꼈습니다. ㅎㅎ
일단 국민주택채권 매입 금액 조회는 아래 국토교통부 웹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.
http://www.molit.go.kr/portal.do
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건설 건설 기술력 증대를 위한 다양한 건설경제, 기술안전, 해외건설 등의 정책 자료를 제공합니다. 바로가기
www.molit.go.kr
국토교통부 사이트에서 공동주택공시가격 클릭.
공동주택가격 열람 선택한 후 계약한 아파트의 시/도, 시/군/구 등을 선택. 열람하기 클릭.
공동주택가격이 (파란색박스) 바로 건물분 시가표준액. 파란색박스 금액 메모.
아래 주택도시기금 웹사이트 접속.
주택도시기금
주택도시기금 소개, 주택구입(내집마련디딤돌 등), 전세자금, 월세대출, 국민주택채권, 주택청약, 신혼부부대출
nhuf.molit.go.kr
청약/채권 - 제1종국민주택채권 - 매익대상금액 조회 클릭.
건물분 시가표준액에 메모해둔 공동주택가격 (파란색박스) 입력 후 조회 클릭.
조회된 채권매입금액 (초록색박스) '절사'해서 메모.
왼쪽 메뉴에서 다시 고객부담금조회 클릭.
발행금액에 메모해둔 채권매입금액 입력.
즉시매도시 본인부담금 (분홍색박스) 메모. 본인부담액은 할인율 변동때문에 날짜마다 차이가 있음.
저는 잔금일 일주일전~잔금일 날짜 각각 조회 후 가장 본인부담금이 적은 날짜를 선택했습니다.
왼쪽 메뉴에서 "국민주택채권매입" 클릭 후 납부를 원하는 은행 클릭.
저는 KB에서 납부하여 해당 스크린샷을 공유합니다.
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"국민주택채권" 검색.
해당 화면으로 넘어간 후 국민주택채권 매입하기 클릭. 즉시매입은 영업일 17:30까지라고 나옴.
본인매입 클릭. 비밀번호까지 입력 후 확인 클릭.
메모해둔 채권매입금액 (초록색박스) 입력.
매입용도는 부동산등기(소유권보존 및 이전) 선택.
하단의 입력 클릭 후 즉시매도시 본인부담금 (아까 분홍색 박스) 납부 진행.
납부 완료 후 조회/취소/변경 - 매입내역 조회 (영수증 발행) 클릭.
본인 선택 후 조회 클릭하면 납부 내용이 나옴.
상세조회(영수증) 클릭 후 출력.
==========
후 조금 복잡했지만 14번도 준비 완료!
등기소 최종 제출 서류 (파란색 - 매도인 준비, 초록색 - 매수인 준비)
1.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(매매) (간인 필수)
2. 등기신청수수료 등 현금 영수필확인서 (법원제출용)
3. 취득세 영수필확인서
4. 위임장 (매도인 인감 필요)
5. 매도용인감증명서
6. 주민등록초본 (매도인)
7. 주민등록초본 (나 - 매수인)
8. 주민등록등본 (나 - 매수인)
9. 토지대장
10. 집합건축물대장 (전유부, 갑)
11.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
12. 매매계약서 (원본)
13. 대한민국정부수입인지
14. 거래내역확인증 (제1종 국민주택채권확인서)
15. 등기권리증 (등기필증)
16. 우표 붙인 대봉투 (우편으로 받기 희망할 시 미리 우체국에서 구입)
'부동산 > 셀프 등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아파트 셀프 등기 - 대한민국정부수입인지 (0) | 2020.07.14 |
---|---|
4. 아파트 셀프 등기 - 등기신청수수료 온라인 납부 (0) | 2020.07.13 |
3. 아파트 셀프 등기 - 토지대장, 집합건축물대장,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온라인 발급 (0) | 2020.07.13 |
2. 아파트 셀프 등기 - 주민등록등본, 초본, 가족관계증명서 (0) | 2020.07.12 |
1. 아파트 셀프 등기 - 온라인 준비물, 최종 제출 서류 (0) | 2020.07.12 |